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29)
생강효능 부작용 동서양을 막론하고 만병통치약의 재료로 사용되는 생강은 비싸지도 않고, 구하기 쉽고 섭취하기 간편하여 기침,혈액순환이나 위장 등 질환에 도움을 주는 효능이 알려져 있어서 일상생활에서 자주 섭취하게 된다. 하지만 생강이 아무리 다양한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도 주의 하여 섭취하여야 할 사람이 있다. 생강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하여 알아보자. 생강성분 생강에는 진저롤과 쇼가올 성분이 들어 있는데 진저롤은 생강의 매운맛 성분 중에 하나로 항균과 종양억제 염증을 제거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쇼가올도 마찬가지로 활성산소를 제거하여항산화 효과가 뛰어나고 중추신경계를 진정시키고 위 점막을 자극하여 위액분리를 증가시킨다. 이들 성분은 몸을 따뜻하게 하여 몸이 냉해서 생기는 질환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강효..
근로기준법 법정휴가 휴가는 법으로 부여가 되는 법정휴가와 법적의무는 아니지만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 등에서 정한 약정휴가로 구분된다.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법정 휴가 종류에 대하여 알아보자. ■법정휴가 -연차유급휴가 근로기준법 제 60조 근로제공에 대한 보상으로 휴식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부여되는 휴가이다. 연차휴가제도는 법률상 보장된 권리이므로 그 요건을 갖춘 경우 당연히 그 권리는 성립한다고 보아야 하고 근로자의 청구는 그 시기를 근로자가 임의로 선택할 권리를 행사하는데 지나지 않다고 시기지정권설을 판례는 택하고 있다. 시기 지정권설은 연차유급휴가권은 그 요건을 갖춘 때 이미 성립하고 오직 근로자는 그 시기를 지정하는데 그친다고 보고 있다. -선택적 보상휴가 근로기준법 제57조 연장·야간·휴일근로에 대해 수당을 지급하는 ..
임금구성 항목 급여명세서를 보게 되면 기본급,제수당,법정수당 등의 임금을 구성하는 용어가 등장하는데 임금구성 항목에 대한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자. 임금 임금은 사용자가 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어떠한 명칭으로든지 지급하는 모든 금품을 말한다. 근로의 대가란 사용종속관계 아래서 제공되는 근로에 대한 보상으로서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명령을 받으며 제공한 근로에 대한 반대 급부를 의미한다. 임금항목1,기본급과 제수당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개념으로 기본적이고 일률적으로 제공되는 근로에 대한 대가로서 지급되는 것인지 또는 부가적이고 개별적인 근로에 대하여 지급되는 것인지 여부에 따라 기본급과 제수당으로 구분한다. 기본급은 근로자의 작업량이나 작업 성과와는 무관하게 단순히 이행된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임금을 산정하여 지급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