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28) 썸네일형 리스트형 신채호 조선상고사 우리나라 근대 역사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신채호에 대하여 알아보자. 신채호는 우리나라 고대사를 주로 연구 했는데 고조선,고구려,발해에 대해 집중연구하면서 이전 역사학자들과는 전혀 다른 관점과 내용으로 우리 역사를 설명했다. 삼국통일의 영웅으로 떠받들던 김춘추를 외세를 끌어 들이는 장본인이라고 비판했고 통일 신라 시대는 ‘발해·신라 양국’시대라 불러야 한다고 주장 하였다. 특히 유교의 사상을 비판하면서 우리 고유의 사상은 ‘낭가사상’이라고 하였는데 낭가사상은 단군 때부터 시작되어 신라의 화랑제도로 이어져 내려온 전통 사상을 말한다. 신채호의 고대사 연구는 일본의 식민학자들에 맞서기 위한 것이었는데 당시 일본 학자들은 우리 역사를 꼼꼼히 연구 했는데 이 까닭은 일본의 식민지를 돕기 위해서였다. 조선을 제대로.. 무신정변 고려시대 무신들에 의해 벌어진 무신정변에 대하여 알아보자. 고려 무신정변은 문신이 무신에 대한 차별에서부터 출발한다. 고려시대에는 처음부터 무신을 천대한건 아니고 고려초기에는 문신과 무신을 동등하게 대우했다.문신은 정치를 맡고 무신은 군사에 관한 일을 맡으면서 동등하게 역할 분담을 하였는데 문신이 중심인 문벌 귀족들의 입김이 세지면서 무신들에 대한 차별이 심화 되었다. 문신들은 무신의 재산을 함부로 빼앗고 심지어는 멸시와 모욕도 서슴지 않았다. 결국은 무신들이 반란을 일으키고 왕을 갈아 치우고 정권을 잡았는데 이것이 무신정변이다. 요(거란)의 침략을 물리친 뒤로 별다른 전쟁이 없게 되자 무신들은 왕과 문신 등의 호위병 노릇을 해야 했다. 문신들이 왕과 어울려 잔치를 벌일 때 시중을 들고 때로는 구경거리로.. 현대적의미의 신화와 이데올로기 영상이 사회속에서 궁극적으로 담당하는 역할을 설명해주는 신화와 이데올로기는 의미 작용의 3차 단계에 해당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적 의미와 신화와 이데올로기에 대하여 알아보자. 먼저 신화에 대하여 롤랑 바르트는 신화는 잘못된 믿음 또는 고대의 세계 인식 체계 등을 지칭하는 개념에서 분리시켜서 추상적인 문제를 개념화하는 문화의 한 방식이라는 인류학적인 의미로 대체하고 이것을 대중문화 영역에 적용하였다. 바르트는 신화를 기의차원에 작용하는 의미 작용의 2차 단계, 다시말하면 전체 의미 구성의 차원에서는 의미 작용의 3차 단계로 이해한다. 애초에 구조주의에서는 특정 기호의 의미를 외연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로 나누어 설명한는 경향이 있었는데 의미작용의 1단계로서의 외연적 의미는 기호의 상식적이고 명백한.. 이전 1 ··· 167 168 169 170 171 172 173 ··· 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