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28)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자겸의 난 고려 중기 이자겸의 난을 시작으로 묘청의 난을 거치면서 무신정변이 일어나게 되었는데 이자겸의 난에 대하여 알아보자. 거란의 침략을 물리친 뒤 100여 년간 평화가 지속되었다.평온한 가운데 귀족 중심의 보수적 문화가 널리 퍼지고 귀족들 사이에서는 풍요로움과 안일함을 찬미하는 시문을 짓는 일이 성행하게 되었다. 그리고 중요 관직을 독점하고 왕의 측근이나 외척이 되어 권력을 휘두르는 문벌 귀족들이 나타났고 12세기에 이르러 귀족들의 권력 다툼으로 인한 난이 일어났다. 먼저 1126년 이자겸의 난이 었다.이자겸은 다른 귀족과 신진 관료 세력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하였는데 그는 인주 (지금의 인천)이씨로 왕실의 외척이었는데 그의 조부인 이자연의 세 딸 이 문종의 왕비가 되었고 이자연의 손녀들도 순종,선정의 왕비가.. 실학사상 실학자 실학사상이 나타나게 된 배경과 실학의 사회개혁에 대하여 알아보자 성리학은 조선후기의 가장지배적인 사상이었다.그러나 성리학은 이 시기 사회변화를 포괄하거나 사회 내부의 이해관계를 조정할 만한 유연성을 가지지 못했다. 이러한 가운데 일어나 새로운 학문풍조가 있었는데 1930년대 국학,조선학의 연구가 본격적으로 되면서 이를 실학이라 명명하였다. 조선후기에 들면 먼저 주자학에서 이탈하려는 경향을 보였다.허목은 송대의 성리학보다 공자,맹자가 살던 시대의 원시유학에서 새로운 방향을 찾았다. 그리고 윤휴와 박세당은 주자의 해석을 부정하여 파문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소론 계통의 학자들은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양명학을 받아 들였는데 이는 명의 학자 왕양명의 사상으로서 성리학의 한 흐름이지만 주자와는 다른 해석을 하였다. .. 민주주의의 원리 우리가 흔히 하는 말로 “민주적으로 해결해야지”라는 말을 자주 하거나 들기도 한다. 민주주의란 국가권력의 정당성이 국민의 정치적 합의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통치원리를 만한다.여기서 합의란 국민 전체의 단일한 의사로서의 합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소수자 보호와 다원적 가치 상대주의를 전제로 한 다수결의 원리를 말한다. 민주주의는 국민이 자기 의사를 직접 결정할 것을 요구하지는 않으나 국민의 정치의사형성과정에의 직접적 참여을 보장한다. 선거를 통한 민주주의 원리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자. 국민 자신에 의한 정치적 의사형성은 우선 의회의 선거에서 이루어진다.현대국가에 있어서는 국민의 수가 너무 많고 또 이해관계 등이 너무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국민의 의사에 의한 전면적인 직접통치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 이전 1 ··· 165 166 167 168 169 170 171 ··· 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