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중기 이자겸의 난을 시작으로 묘청의 난을 거치면서 무신정변이 일어나게 되었는데 이자겸의 난에 대하여 알아보자.
거란의 침략을 물리친 뒤 100여 년간 평화가 지속되었다.평온한 가운데 귀족 중심의 보수적 문화가 널리 퍼지고 귀족들 사이에서는 풍요로움과 안일함을 찬미하는 시문을 짓는 일이 성행하게 되었다.
그리고 중요 관직을 독점하고 왕의 측근이나 외척이 되어 권력을 휘두르는 문벌 귀족들이 나타났고 12세기에 이르러 귀족들의 권력 다툼으로 인한 난이 일어났다.
먼저 1126년 이자겸의 난이 었다.이자겸은 다른 귀족과 신진 관료 세력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하였는데 그는 인주 (지금의 인천)이씨로 왕실의 외척이었는데 그의 조부인 이자연의 세 딸 이 문종의 왕비가 되었고 이자연의 손녀들도 순종,선정의 왕비가 되어 인주 이씨 가문은 문벌귀족 가운데 최고의 권세를 누리고 있었다.
이자겸의 둘째 딸은 예종의 왕비가 되었다.
예종이 세상을 떠나자 이자겸은 예종의 동생들을 모두 물리치고 어린 외손자(인종)를 왕으로 앉혔다.
그리고 자신의 셋째,넷째 딸을 인조의 왕비로 들여 다른 가문이 외척이 되는 것을 막았다.
이자겸은 조선국공이라는 작위를 받았고 그의 집은 의친궁이라 불렸다.
이자겸은 자신을 꺼리는 관료들을 모두 제거하고 매관매직을 하여 그의 집에는 뇌물이 넘쳤다.또 자신의 이름으로 송에 사신을 보내 임금과 같은 행세를 하고 여진 정벌에 공을 세운 척준경과 사돈을 맺어 군사력까지 장악하였다.
이자겸이 권력을 쥐고 정치를 좌우하자 인종은 이자겸을 제거하려고 했다.그러나 척준경이 군사들을 이끌고 반격하는 바람에 궁궐까지 불타버리고 연금당하는 처지가 되었다.
이자겸은 십팔자(十八子=李)가 왕이 된다는 도참설을 퍼트리고 인종을 독살하려 하였다.
그러나 딸인 왕비의 도움으로 인종은 죽을 위기를 넘겼다.
얼마 뒤 이 일에 대한 책임을 놓고 척준경과 이자겸이 사이가 안 좋아 지자 인종은 몰래 척준경과 접촉하여 이자겸의 세력을 제거 하였다.이로써 왕권은 회복되었지만 정치는 크게 어지러워 졌다.
이후 정치개혁을 생각하고 있던 인종은 개경을 떠나 남경(지금의 서울)으로 행차하고 이듬해에는 서경(평양)에 행차할 때 서경에서 인종은 정지상과 승려 묘청,일관 백수안 등을 만났다.
정지상은 서경 출신의 신진관료로 이자겸이 제거된 후 척준경을 몰아 내는데 공을 세워 인종의 신임을 받은 인물이었다.
정지상은 서경 출신의 승려 묘청과 일관 백수한을 왕에게 천거하면서 후에 묘청이 난을 일으키게 되었다.
이자겸의 난의 결과 문벌귀족 사회에 대한 반감으로 인하여 붕괴가 촉진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무신정권이 들어서게 되었다